티아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페이지 정보

dubalmoa
작성자두발모아
댓글 8 조회 419회 작성일 2025. 08. 09 22:43

본문

c3fed-68974fe1b79aa-7520ff88ae1ccf584e414be735fbfc84a1e50bd4.png

 

핵심 지표 설명 (Key Metric Explanations)

 

  • PAdj (Possession Adjusted): '소유권 조정' 지표로, 팀의 점유율(Possession)에 따라 발생하는 통계의 편차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수비적인 팀의 선수는 점유율이 낮아 통계 수치가 적을 수 있는데, PAdj 지표는 이를 조정하여 더 공정한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PAdj ClearancesPAdj Interceptions는 점유율을 감안한 클리어런스와 가로채기 수치를 나타냅니다.

  • OBV (On-Ball Value): 한글로는 '볼 소유 가치' 또는 '온볼 가치'라고 합니다. 이 지표는 선수가 공을 소유했을 때 팀의 승리 확률을 얼마나 높였는지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선수의 행동(패스, 드리블 등)이 득점 기회로 이어질 가능성을 분석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값을 부여합니다.

  • LBP (Last Ball Played): '마지막 볼 터치'를 의미합니다. LBP Completed는 패스나 슈팅과 같은 마지막 볼 터치 플레이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Deep Progressions: 경기장 깊숙한 지역, 즉 상대 진영으로 볼을 전진시키는 플레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전진 패스나 전진 드리블을 통해 이루어지며, 공격 전개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수정된 통계 및 해석 (Corrected Stats and Interpretation)

 

제공해주신 이미지와 용어 설명을 바탕으로 두 선수의 장단점을 다시 분석해 드릴게요.

말릭 티아우(Malick Thiaw)

  • 장점:

    • 수비적 안정성: 상대의 드리블을 저지하는 Tack/Dribbled Past%가 **86%**로 매우 높아 1대1 수비에 강점이 있습니다. 이는 상대 공격수가 티아우를 상대로 드리블 돌파에 성공하는 경우가 적다는 의미입니다. 파울(Fouls) 수치도 낮아 안정적인 수비를 펼칩니다.

    • 공중볼 경합: 공중볼 승리율(Aerial Win%)이 67%로 매우 높고, 공중볼 경합 성공 횟수(Aerial Wins)도 2.19로 파비안 셰어보다 월등히 우수하여 제공권 장악 능력이 뛰어납니다.

  • 단점:

    • 볼 운반 및 빌드업: 후방에서 공격을 전개하는 Deep Progressions 수치가 4.15로 셰어보다 낮고, 직접 볼을 몰고 나가는 드리블 및 운반 OBV(Dribble & Carry OBV)도 0.04로 상대적으로 떨어져 공격 전개 능력은 약합니다.

    • 압박 대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의 플레이 가치 변화(Being Pressured Change in Pts)가 -14로 셰어보다 낮아 압박 상황에서 실수를 하거나 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파비안 셰어(Fabian Schär)

  • 장점:

    • 공격 가담 및 빌드업: 전진성 지표인 Deep Progressions 수치가 4.92로 티아우보다 높아 후방에서부터 공격을 시작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합니다. LBP Completed 수치도 5.84로 높고, Pass OBV가 0.07로 티아우보다 우수해 패스를 통해 팀의 공격 가치를 높이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 압박 대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의 플레이 가치 변화(Being Pressured Change in Pts)가 -13으로 티아우보다 높아 상대의 압박을 받으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플레이를 이어가는 능력이 더 좋습니다.

  • 단점:

    • 수비력: 상대방의 드리블 돌파를 저지하는 Tack/Dribbled Past%가 **60%**로 티아우보다 낮아 1대1 수비에서 약점을 보입니다.

    • 공중볼 경합: 공중볼 승리율(Aerial Win%)이 51%로 티아우보다 낮아 제공권 싸움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https://bsky.app/profile/editkev.football/post/3lqlfdx2nss2g

댓글목록

eloso88

BetHesTorm님의 댓글

BetHesTorm 작성일

패스가 좀 되는 친구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나보네요.

Joelinton7

Joelinton7님의 댓글

Joelinton7 작성일

이 수치대로라면 젊고 발빠른 라셀레스인거 같은데...

smj0409

그거슨진ㄹ1님의 댓글의 댓글

그거슨진ㄹ1 작성일

이거 딱이네요 ㅋㅋ

leekj1213

스타슈터님의 댓글의 댓글

스타슈터 작성일

사실 라셀이 중용받지 못한건 키퍼가 포프여서 그런면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포프가 발밑이 불안하니 압박받아도 백패스를 최대한 안할수 있는 발밑이 좋은 센터백이 강제되고, 롱킥 빌드업도 센터백에게 위임하다보니 빌드업 능력도 겸비해야하는 등 단순 수비적인 센터백을 기용하기 어려워졌었죠.

램스데일이 출전할때 그런 부담은 확실히 적어질테고 티아우나 라셀러스도 출전기회를 꽤 받을거라고 생각합니다.

toughnj

백살이다님의 댓글

백살이다 작성일

어제 셀라컵 경기 중 해설위원이 티아우 공중볼이 약점이라고 하던데, 데이터로 보니 또 그렇지도 않네요.

squid10

니키버뜨님의 댓글

니키버뜨 작성일

체감상 티아우 발밑 나쁘지 않았던거 같았는데 한 번 봐야겠네요

shy6511

이삭줍기님의 댓글

이삭줍기 작성일

지표가 뭔가 이상한... 오히려 수비시에 발빠른 공격수에 취약하고 대인마크에서 최고 약점을 보이는 편에다가
빌드업 지표가 최상위급으로 알고있는데 정반대로 써있네요

dubalmoa

두발모아님의 댓글

두발모아 작성일